표고버섯의 재배방법과 효능
버섯은 지구상에 수천 종이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진균류에 속하는 담자균류의 한 종류이다. 이러한 버섯 중에 담자균류 잣나무속에 속하는 표고 버섯(Lentinus Edodes)은 식용 버섯의 한 종류로, AD 1,000년경 중국에서 재배가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30년부터 재배하기 시작했다. 표고버섯은 주로 봄에서 가을에 걸쳐 나무토막, 그루터기 위에 단생하거나 군생하는 목재 백색 부후균으로써, 그 나무는 참나무류, 오리나무류와 같은 활엽수이다. 현재는 미국, 캐나다와 같은 서구지역에서도 인공재배를 하고 있으며, 주로 한국 중국, 일본, 동남아시아 등지에 분포되어 있다. 표고버섯의 재배 방법은 두 가지가 있으며, 원목 재배와 톱밥 재배로 나뉜다. 원목 재배는 참나무 ..
2023. 9. 7.
내장 비만이 대사증후군, 인슐린 저항성과의 관계
비만(obesity)은 체내에 과다하게 많은 양의 체지방이 쌓인 상태를 말하며, 체중이 많이 나가더라도 근육량이 증가해 있고 지방량이 많지 않은 경우는 비만이라고 부르지 않는다. 오랜 시간에 걸쳐 에너지 소비량에 비해 영양소를 과다 섭취할 경우, 에너지 유입과 에너지 소비 간의 불균형에 의해 과도한 에너지 저장과 몸무게 증가를 유발하게 되고 비만으로 발전한다. 유전적으로 특정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도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에너지 섭취량이 에너지 소비량보다 클때 발생한다. 특히 칼로리가 높은 식품이 풍부하고 신체 활동이 부족한 현대의 생활환경이 비만의 폭발적 증가를 초래하고 있으며, 불규칙한 식습관, 과다한 음식 섭취, 운동 부족, 내분비계통 질환, 유전적, 정신적 요인 및 약물 등이 비만..
2023. 9. 7.
우리나라 전통음식인 떡의 유래와 분류
사전이나 문헌에 나와있는 떡의 정의들을 살펴보면 떡은 곡식의 가루 등을 이용하여 찌거나, 찐 것을 치대거나, 기름으로 지져서 익혀 만든 음식의 총칭이다. 떡의 어원을 살펴보면 옛말의 ‘찌다’라는 동사가 명사가 되어 ‘찌기-떼기-떠기-떡’으로 변환되어온 것으로, 찐 것이라는 뜻으로 부터 전해져 왔다고 본다. 떡을 일컫는 한자어로는 고(餻), 이(餌), 자(瓷), 편(片.䭏), 병이(餠餌), 투(偸), 탁(飥) 등이 있는데, 쌀을 주재료로 사용하는 우리의 떡은 ‘이(餌)’나 ‘자(餈)’로 표기되어야 하겠지만, 재료에 구별없이 떡이라 하며, 한자로 쓰일때에는 ‘병(餠)’이라고 쓰이고 있다. 중국에서는 밀가루로 만든 떡을 병(餠)이라 부르며, 우리나라는 밀가루로 만든 떡도 포함한 모든 떡류를 지칭하고 있다. 예..
2023. 9.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