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당뇨병9

내장 비만이 대사증후군, 인슐린 저항성과의 관계 비만(obesity)은 체내에 과다하게 많은 양의 체지방이 쌓인 상태를 말하며, 체중이 많이 나가더라도 근육량이 증가해 있고 지방량이 많지 않은 경우는 비만이라고 부르지 않는다. 오랜 시간에 걸쳐 에너지 소비량에 비해 영양소를 과다 섭취할 경우, 에너지 유입과 에너지 소비 간의 불균형에 의해 과도한 에너지 저장과 몸무게 증가를 유발하게 되고 비만으로 발전한다. 유전적으로 특정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도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에너지 섭취량이 에너지 소비량보다 클때 발생한다. 특히 칼로리가 높은 식품이 풍부하고 신체 활동이 부족한 현대의 생활환경이 비만의 폭발적 증가를 초래하고 있으며, 불규칙한 식습관, 과다한 음식 섭취, 운동 부족, 내분비계통 질환, 유전적, 정신적 요인 및 약물 등이 비만.. 2023. 9. 7.
생활습관 개선은 모두에게 권장되는 고혈압의 예방법 1. 체중감량 2. 절주 3. 운동 4. 저염식이 5. 금연 6. 건강식사요법 7. 약물요법 무언의 살인자(silentkiller)라고 불리는 고혈압은 특이증상이 없기 때문에 환자 대부분이 시간이 지날수록 치료를 등한시하여 약 50% 이상의 고혈압 환자가 혈압 조절에 실패하게 된다. 고혈압 치료를 등한시하게 되는 이유로 66.4%가 '혈압이 높아도 특별히 불편한 곳이 없어서' 와 '치료를 받는 것이 귀찮아서'라고 응답하였다. ESH-ESC 2007은 고혈압 치료의 주목표를 '심혈관계 이환율 및 사망률의 장기 총위험도를 최대한 낮추는 것'이라 하였고, JNC 7은 '심혈관계와 신장의 이환율 및 사망률을 낮추는 것' 이라 하였다. 복합적인 생활습관 개선을 실험한 TONE(Trial of Non.. 2023. 9. 6.
서구화된 식습관과 좌식 생활습관은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 등이 증가 인슐린 저항성은 정상적인 인슐린의 작용에 대해 세포가 반응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췌장에서 분비한 인슐린에 대해 저항성을 갖게 되면 우리 몸에서 인슐린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게 되고 고혈당증이 발생하게 되며, 제2형 당뇨의 원인일 뿐 아니라 고혈압,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등 혈관계 질환과 다낭성 난소 증후군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인슐린 저항성은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대부분 관찰되며, 제2형 당뇨병의 가장 강력한 예측인자라는 연구결과가 있으며, 다른 심혈관 질환의 발생위험을 증가시키므로 인슐린 저항성은 제2형 당뇨병의 가장 중요한 선행 요인인 동시에 대사증후군 발생의 핵심 인자로 생각되고 있다.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30세 이상 고혈압 유병률은 2007년도 25.1%에서 2017.. 2023. 8. 19.
비만과 당뇨병이 간암, 췌장암, 담낭암에 미치는 영향 1. 간암, 췌장암, 담낭암의 역학 2. 당뇨병과 간암, 췌장암, 담낭암의 역학적 관계 3. 비만과 간암, 췌장암, 담낭암의 역학적 관계 1. 간암, 췌장암, 담낭암의 역학 간암, 췌장암, 담낭암은 소화기계 암 중 발생률은 다른 암에 비해 높지 않지만 선별검사를 통한 발견이 어렵고 예후가 좋지 않은 암으로 알려져 있다. 2018년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2017년 간암은 발생률 기준으로 우리나라 전체 암 발생 중 6.6%에 해당하고 이중 남성암의 9.4%, 여성암의 3.6%에 해당하였다. 췌장암은 전체 암 중 3%에 해당하였고 남성암의 3.1%, 여성암의 3% 정도였다. 담낭암 및 담도암의 담도계 암은 전체 암 중 2.9%로 남성암의 2.9%, 여성암의 3%에 해당하였다. 연령을 표준화한 발생률로 살펴보면.. 2023. 8. 1.
중년기 남성의 근육량감소 및 체지방량 증가로 비만율이 가장 높음 전 세계적으로 비만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서 이미 비만은 질병으로 규정되면서 각 국가에서는 비만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다양한 관리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경제적 수준의 향상과 서구화된 식습관으로의 변화, 스크린 기반 여가활동 등의 원인으로 비만율이 급증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2009년 29.1%에서 2018년 32.5%로 비만율이 10년간 약 12% 정도 증가된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특히 체질량지수가 30kg/m2 이상의 고도비만율이 2009년에 3.5%에서 2018년 6.0%로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로, 우리나라에서도 비만이 심각한 건강문제임이 확인되면서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Health Plan 2.. 2023. 7. 2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