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건강하게137

중년기의 특징과 중년여성의 노화로 인한 신체변화 중년이란 40대에서 60대까지의 장년과 노년의 중간되는 연령대로 노년기를 준비하는 기간을 의미하며, 생애사적 측면으로는 인생의 결정적인 전환기 및 변동기로 정의된다. 그러나 지금까지 중년기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들이 있어온 것이 사실이다. 대표적인 심리 발달학자인 Erikson(1970)은 인간의 생애에서 중년기를 30세에서 65세까지의 기간으로 정의하고 생식능력을 중년기의 중요한 과제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생식력의 수준이 중년기 삶의 질과 건강을 결정하는 중요 요인임을 내세운 다음 가정관리, 직장생활, 건강, 인간관계 등의 불안전성은 생식능력의 부족에서 기인한다고 주장하였다. Borland(1978)은 삶의 다양성 및 가족구성의 특성을 준거로 중년기를 막내 자녀의 독립시점에서 사회적 은퇴가 이루어지는 .. 2023. 7. 15.
식이섬유 섭취의 중요성, 식이섬유의 주요 기능 1. 식이섬유 2. 식이섬유 섭취의 중요성 3. 식이섬유의 종류 4. 식이섬유의 기능 (1) 변비예방 및 대장암 예방 (2) 체중 감량 효과 (3) 대사이상증후군의 예방 5. 올바른 고식이섬유 식사방법 1. 식이섬유 식이섬유소란 “사람의 대장에서 완전히 또는 일부 발효되면서 소장에서 소화와 흡수가 되지 않는 식물의 가식부 또는 유사한 탄수화물”로 정의되고 있다. 또한 많은 연구를 토대로 “인간의 소화효소로서 소화되지 않는 다당류를 주체로 한 고분자 성분의 총체” 혹은 “인간의 소화효소로 소화되거나 흡수되지 않는 식품의 난소화성 다당류(혹은 식품의 가식부 또는 유사한 탄수화물)” 등이 현재까지 널리 알려진 식이섬유의 정의이다. 2. 식이섬유 섭취의 중요성 우리나라는 현미, 보리 등의 곡류와 .. 2023. 7. 14.
노인의 근력운동 필요성과 스마트 홈트레이닝 1) 노인의 근력운동 필요성 2) 스마트 홈트레이닝의 필요성 1) 노인의 근력운동 필요성 대다수 노인들은 한 가지 이상의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으며, 신체활동과 규칙적인 운동은 노인들의 건강한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고 보고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서는 65세 이상 노인 중 신체적으로 활동적인 노인이 활동적이지 않은 노인보다 관상동맥 심장질환, 고지혈증, 고혈압, 뇌졸중, 당뇨병, 대장암 등의 유병률이 낮고 심폐능력 및 근력 등의 체력 수준은 더 높다고 하였다. 노인은 근감소증과 만성적 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아 낙상과 골절의 위험으로 인해 운동이나 신체활동을 꺼리는 경우가 많고, 수준에 맞는 적당한 운동을 찾기가 어렵다. 노화와 .. 2023. 7. 14.
나이가 들수록 근육량이 줄고 미토콘드리아 기능이 감소하는 이유 1. 노화(Aging) (1)노화의 특징 (2)노화의 기전 2. 중년기 비만(Obesity in the middle age) (1)중년기 비만(Obesity) (2)노인 비만 3. 자발적 운동(Voluntary exercise) 4. 식이 제한(Dietary restriction) 1. 노화(Aging) (1)노화의 특징 노화(aging)는 인간이 나이가 들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세포와 유기체가 성숙(maturation)후 퇴화되면서 세포 생존능력과 세포 항상성유지능력이 감소하는 것을 말한다. 생리적 능력의 점진적인 감소와 스트레스에 반응하는 능력의 감소는 질병에 대한 민감성과 취약성의 증가로 이어지게 되며, 만성질환 발병률을 높이는 것과 연관된다. 효모와 동물연구에 따르면 나이가 들면서 미토콘드리아 .. 2023. 7. 14.
중년기 비만이 노년기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비만관리의 중요성 EU회원국 기준으로 2008년 65세 이상 노인 인구의 비율이 17.1%에서 2060년에는 약 30%까지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노인 인구 비율의 증가로 기대수명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00년 출생자의 기대수명은 65.2세, 2016년은 71.9세, 2022년은 83.5세로 추정하고 있다. WHO는 행복한 삶은 곧 건강한 삶이라고 하지만 질병이 없는 건강수명은 기대수명과 약 10년의 차이가 난다. 한국은 노인 비율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되면서 일할 사람은 점차 줄어들고, 노인성질환 발병률이 증가하여 부양인구가 늘어나 여러 사회적 문제들을 야기하게 된다. 기대수명의 증가가 곧 건강수명의 증가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만성질환이나 노인성 질환의 발병률도 함께 증가할 수 있다. 2018년 통계청 및 .. 2023. 7. 1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