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건강하게145

근감소증의 진단기준과 치료방법 건강유지에 필수적인 근육 근육은 팔다리를 움직이고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기관으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뼈와 혈관, 신경, 간, 심장, 췌장 등 신체 전반에 걸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다. 뼈는 근육에 의해 당겨지고 밀어지면서 그 힘에 의해 밀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근육이 힘을 잃으면 뼈도 약해져 골다공증이 생기기 쉽다. 또, 근육이 줄어들면 근육에서 만들어지는 여러 가지 물질의 영향으로 새로운 혈관과 신경이 생겨나는 것을 방해하며, 궁극적으로는 인지기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 근육은 인슐린에 반응해 혈당을 사용하고 저장하며 우리 몸에서 혈당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데, 근감소증이 있을 경우 근육의 혈당 흡수와 사용 능력을 현저히 떨어트려 당뇨를 유발할 수 있다. 근감소증은 또 심혈관질환, 심부전, 암 발생 또는.. 2023. 7. 19.
근육량이 감소하고 근력이 저하되는 근감소증 예방수칙 3가지 당뇨병때문에 힘들어 하시는 어머니께서 매일 다리에 힘이 없다고 하시거나 팔의 피부가 자꾸 늘어나신다며 걱정을 하시는 말을 자주 들었다. 근육이 자꾸 줄어드시는 것 같다며, 팔다리에 힘이 없어서 움직이는 것도 쉽지 않다며 슬퍼하시는 모습에 내 마음이 너무 아펐다. 당뇨병 자료를 찾다보니, 노화로 인한 '근감소증'이라는 증상이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나도 매일 사무실의자에 앉아 있는 시간이 많아서 친구들에 비해 팔다리의 근육이 적다는 것을 알고 있었는데, 운동이 좋다는 이야기는 많이 들었지만, 과학적 의학적으로 자세히 알지는 못하고 있었다. 이번에는 근감소증과 운동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이글이 나와 같은 고민을 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세계적으로 노인인구가 빠르게 증가하고.. 2023. 7. 18.
비만은 많이 먹는것보다 활동량이 적을때 발생하기 쉽다. 현대사회에서 교통과 통신의 발달로 인하여 신체활동이 감소하는 대신에 TV시청, 인터넷 사용 등 정적인 활동시간이 급증하고 있다. 사회현상으로 소비되는 에너지가 감소되기 때문에 성인병 위험률은 높아지고 있다. 지속적이고 규칙적인 운동이 합리적인 신체관리 능력을 향상시키면서 나아가 성인병의 발병률을 통제할 수 있다. 성인의 경우 음식물 섭취량과 소화흡수율에 대해서는 변화가 없고 일상생활에서의 활동량이 감소한다면, 에너지 섭취량은 상대적으로 과잉되어 장기적으로 성인병을 초래한다. 대부분의 성인병 환자들은 비활동적인 성향을 많이 가지고 있으며, 이것이 기본적인 열량 소비량으로 나타나, 같은 식사량을 섭취해도 체중관리에 실패하는 것이다. 운동과 성인병에 관한 연구에서 성인병 환자들의 낮은 에너지 소비는 결과적으로.. 2023. 7. 17.
[성인병-5] 대표적인 뇌혈관질환인 중풍의 9가지 증상과 원인 1. 중풍의 증상 2. 중풍의 원인 1) 뇌출혈 2) 지주막하 출혈 3) 뇌경색 뇌혈관질환은 뇌의 혈관이 막히는 것과 혈관이 터지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대표적인 뇌혈관질환은 중풍이며 정상적이던 사람이 갑자기 움직이지 못하며 쓰러지는 것이 바람맞은 것 같다 하여 붙여진 것이지만 현대 의학적으로 보면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뇌혈관이 막히거나 터짐으로써 뇌 혈액순환의 갑작스러운 정지와 뇌신경의 괴사에 의하여 발생하는 질환으로 뇌졸중이라 하게 되었다. 1. 중풍의 증상 ◆ 의식장애 - 자꾸 자려고만 하고 주위에 반응을 잘 하지 않으려고 한다. 어떤 경우에는 치매에 걸린 것처럼 이상한 행동을 하는 경우도 있다. ◆ 어지러움증 - 기운 없이 쓰러지려고 하며 눈앞이 캄캄해지기도 하고 의식을 잃었다가 깨어날 수 .. 2023. 7. 16.
[성인병-4] 고지혈증의 원인과 치료방법, 잘못된 상식들 1. 고지혈증의 원인 2. 고지혈증의 증상 및 치료 1) 약물치료 2) 식사요법 3) 운동요법 3. 고지혈증에 관해 잘못알고 있는 상식들 1. 고지혈증의 원인 고지혈증은 필요 이상으로 많은 지방성분 물질이 혈액 내에 존재하면서 혈관벽에 쌓여 염증을 일으키고 그 결과 심혈관계질환을 일으키는 상태이다. 최근에는 비정상적인 혈액 내 지질상태를 이상지질혈증(dyslipidemia)으로 정의하기도 한다. 유전적인 요인으로 인해 혈액 내에 특정 지질이 증가하여 고지혈증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지만, 비만이나 술, 당뇨병 등과 같은 다른 원인에 의해서도 고지혈증이 생길 수 있다. 대부분 증상이 없지만 일부에서 합병증이 발생하면 그와 연관된 증상이 생길 수 있다. 예를 들어 혈액 내에 중성지방이 크게 증가하.. 2023. 7. 1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