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건강하게145 노인의 근력운동 필요성과 스마트 홈트레이닝 1) 노인의 근력운동 필요성 2) 스마트 홈트레이닝의 필요성 1) 노인의 근력운동 필요성 대다수 노인들은 한 가지 이상의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으며, 신체활동과 규칙적인 운동은 노인들의 건강한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고 보고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서는 65세 이상 노인 중 신체적으로 활동적인 노인이 활동적이지 않은 노인보다 관상동맥 심장질환, 고지혈증, 고혈압, 뇌졸중, 당뇨병, 대장암 등의 유병률이 낮고 심폐능력 및 근력 등의 체력 수준은 더 높다고 하였다. 노인은 근감소증과 만성적 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아 낙상과 골절의 위험으로 인해 운동이나 신체활동을 꺼리는 경우가 많고, 수준에 맞는 적당한 운동을 찾기가 어렵다. 노화와 .. 2023. 7. 14. 나이가 들수록 근육량이 줄고 미토콘드리아 기능이 감소하는 이유 1. 노화(Aging) (1)노화의 특징 (2)노화의 기전 2. 중년기 비만(Obesity in the middle age) (1)중년기 비만(Obesity) (2)노인 비만 3. 자발적 운동(Voluntary exercise) 4. 식이 제한(Dietary restriction) 1. 노화(Aging) (1)노화의 특징 노화(aging)는 인간이 나이가 들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세포와 유기체가 성숙(maturation)후 퇴화되면서 세포 생존능력과 세포 항상성유지능력이 감소하는 것을 말한다. 생리적 능력의 점진적인 감소와 스트레스에 반응하는 능력의 감소는 질병에 대한 민감성과 취약성의 증가로 이어지게 되며, 만성질환 발병률을 높이는 것과 연관된다. 효모와 동물연구에 따르면 나이가 들면서 미토콘드리아 .. 2023. 7. 14. 중년기 비만이 노년기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비만관리의 중요성 EU회원국 기준으로 2008년 65세 이상 노인 인구의 비율이 17.1%에서 2060년에는 약 30%까지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노인 인구 비율의 증가로 기대수명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00년 출생자의 기대수명은 65.2세, 2016년은 71.9세, 2022년은 83.5세로 추정하고 있다. WHO는 행복한 삶은 곧 건강한 삶이라고 하지만 질병이 없는 건강수명은 기대수명과 약 10년의 차이가 난다. 한국은 노인 비율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되면서 일할 사람은 점차 줄어들고, 노인성질환 발병률이 증가하여 부양인구가 늘어나 여러 사회적 문제들을 야기하게 된다. 기대수명의 증가가 곧 건강수명의 증가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만성질환이나 노인성 질환의 발병률도 함께 증가할 수 있다. 2018년 통계청 및 .. 2023. 7. 13. 운동이 가져다 주는 12가지 긍정적인 효과 1) 운동의 신체적 효과 가) 심장 질환 질병 예방 나) 성인병 감소 및 심장(폐) 기능 강화 다) 체지방량 감소 및 비만 예방 라) 근력 강화 및 골다공증 예방 마) 기초 대사량 증가 2) 정신 및 정서적 효과 가) 스트레스 감소 나) 우울증 완화 다) 자아 존중감 강화 라) 숙면과 불면증 예방 3) 사회적 효과 가) 대인관계 유지 나) 사회성 발달 다) 공동체 의식 강화 격한 신체활동이 건강에 효과가 있다고 오랫동안 사람들은 생각해 왔다. 그러나 현대에 들어 적당한 신체운동이 사망률을 낮춘다는 사실들이 증명되었고, 꾸준히 일주일에 5~6일 동안 30~45분씩 걷는 것만으로도 평균 수명이 늘어난다. 또한 운동이 주는 효과는 다양하다. 특히나 신체활동은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증진하는데 아주 효과적이며,.. 2023. 7. 13. 고령화로 인한 노인치매환자의 증가와 사회적 부담비용 가끔 우리 어머니에게 나이들면서 무엇이 제일 무서우시냐? 고 물어보면, 치매가 제일 무섭다고 말씀하셨다. 당뇨병보다 가족도 못 알아보고 온전한 정신을 갖지 못하는 치매가 제일 무섭다고 하신다. 학교 다닐때 요양원에 자원봉사를 간적이 있었는데, 치매인 할아버지를 보고 처음에는 무서움을 느낀적이 있다. 노인이 되면 대부분이 겪을 수 밖에 없는 질병이라는 것이 더 무서웠다. 의료의 발전과 여러 보건 정책의 도입으로 인간의 수명연장과 함께 저출산의 영향으로 고령화 현상이 전 세계적으로 심화되어 가는데 우리나라의 고령화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전체 인구에서 노인 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2015년 13.1%에서 2060년 40.1%로 늘어날 전망이며, 2000년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우리나라는 초고령사회 진입에 .. 2023. 7. 7. 이전 1 ··· 25 26 27 28 29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