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0

여성 유방암 진단 후 생존율과 온코퍼틸리티(oncofertility) 암은 전 세계적인 건강 문제로, 한국에서는 20세에서 44세 사이에 암 진단을 받은 국민이 남녀를 통틀어 2001년 18,124명에서 2018년 29,623명으로 증가하여 가임기 암 생존자 수가 누적되고 있다. 그 중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은 2001년 2,956명에서 2018년 5,199명으로 약 2배 가까이 증가하였다. 암 5년 상대 생존율은 과거(1993~1995년) 42.9%에서 최근 (2014~2018년) 70.3%로 크게 증가하였으며, 그 중 유방암은 93.3%로 여성에게 발생하는 암 중 갑상선 암 다음으로 높은 생존율을 나타냈다. 이와 같이 암 생존자 수의 증가와 생존 기간의 연장으로 암 생존자들의 치료 이후의 삶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전 세계에서 남녀를 통틀어 가장 많이 발.. 2023. 8. 1.
약선음식의 뜻과 한국과 중국의 약선음식과 식치의 역사 1) 약선의 개념 2) 중국 약선의 역사 3) 우리나라 약선의 역사 1) 약선의 개념 약선(藥膳)이란 한의학의 기미론(氣味論)과 음양오행론(陰陽五行論)을 바탕으로 약식동원(醫食同原)의 이념에서 식품이 갖는 영양학적 기능과 한의학에서의 본초학적 해석을 조화시킴으로써 질병을 예방, 치료하고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섭취하는 모든 음식을 말한다. 다시 말해 ‘약선’이란 ‘몸에 약이 되는 음식’으로 식치(食治)의 개념이다. 예로부터 우리 조상들은 ‘의식동원’ 또는 ‘약식동원’이라고 하여 의약과 식품을 하나로 보았다. 우리나라의 ‘식의(食醫)제도’는 병이 발생하기 전 올바른 음식섭취로 병을 예방하고, 병이 발생한 후에도 식의의 방법으로 그 증상을 살펴 음식으로 치료하며 그래도 낫지 않을 때 약을 쓴다고 하여 약선.. 2023. 7. 29.
비만과 대사증후군과의 관계 및 대사증후군의 원인들 1. 비만과 대사증후군과의 관계 2. 비만 및 대사증후군 위험요인 1) 신체활동 2) 식이행동 3) 근력(악력) 1. 비만과 대사증후군과의 관계 일반적으로 비만은 대사적 건강상태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만도에 따라 대사증후군 위험요인 및 대사증후군 유병율을 비교한 연구에서 비만도에 따라 대사증후군 각 위험요인의 유병률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구학적 특성과 건강행태를 보정한 후에도 고도비만군의 대사증후군 발병 위험율은 정상체중군에 비해 약 37배 정도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식습관이나 신체활동을 통해 체중을 감량할 경우 대사증후군 발병 위험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비만은 대사증후군 발병의 중요 원인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폐경기 여자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2023. 7. 29.
건강기능 음료식품인 약선차의 효능 1. 건강식품 및 음료시장 동향 2. 차 음료 시장의 동향 3. 약선차의 효능 현대사회의 의료기술 발달과 영양 및 위생 상태 개선,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우리나라는 고령인구의 비율이 14%를 초과하는 ‘고령사회’로 진입하였다. 통계청 조사에 의하면 2022년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우리나라 전체인구의 17.5%인 901만 8천 명이다. 고령인구 비중은 계속 증가하여 2025년에는 20.6%로 초고령 사회에 진입하고, 2035년에는 30.1%, 2050년에는 40%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이처럼 급속한 인구 고령화로 인해 악성신생물(암),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등 다양한 질병들이 증가하고 있다. 통계청의 「사망원인 통계정보보고서(2022)」에 따르면, 질병으로 인한 사망원인 1순위는 암이다. 인구의 고령.. 2023. 7. 29.
노년기의 근력감소와 치아결손으로 영양섭취 불균형이 가장 큰 문제점 2021년 한국인의 장래인구추계에 의하면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총 인구의 16.5%이며, 2025년에 20.3%에 달하고, 2035년에 30%, 2051년에는 인구의 40%를 초과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노인인구의 증가로 우리나라는 지난 2019년에 고령사회(aged society)에 진입했으며, 2025년에는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의 20%를 넘는 초고령사회(post-aged society)로의 진입이 예측되고 있다. 이에 따라 대두되는 가장 큰 문제점 중의 하나는 고령자의 영양과 건강 문제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신체 활동 시간이 줄어들면서 근육 및 근력이 감소하고, 노화로 인한 치아 결손 등의 문제로 저작 및 연하장애를 상당수 겪게 되면서 고령자들의 영양섭취의 불균형을 초래한다. 그 중 단백질.. 2023. 7. 2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