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0

'체질에 맞는 음식이 건강에 좋다'고 하는 우리나라만의 독창적인 사상체질의학 1. 사상체질 정의 2. 사상체질에 따른 체질 진단의 특징 3. 사상체질에 따른 장기의 특징 4. 사상체질에 따른 식품과 한약재 분류 5. 사상체질에 따른 성미귀경 1. 사상체질 정의 사상체질의학은 조선시대 동무 (東武) 이제마 (李濟馬)선생 (1837∼1900)에 의하여 제창된 의학으로 우리나라 사람들의 체질에 따른 맞춤의학으로 치료 의학과 예방의학 이라는데 가치가 있다. 사상체질은 태양인 (太陽人), 소양인 (少陽人), 태음인 (太陰人), 소음인 (少陰人)의 네 가지 체질로 분류하였다. 과거의 의학은 개인의 체질적인 특성보다는 동서양을 불문하고 인간의 생리 현상이나 질병 현상을 획일적으로 생각하여 왔다면, 사상체질의학에서는 '체질에 따라서 허약한 장기가 다르고 병의 진전이 다르며, 약에.. 2023. 8. 2.
김치의 일본전파로 알아보는 음식문화의 지역성 김치를 일본인들은 ‘기무치’라고 발음한다. 일본어로는 한글 종성인 받침이 부족해서, 한국의 본래 명칭인 ‘김치’라고 발음이 되지 않는다. 때문에 ‘김치’를 ‘기무치’로 발음을 한다. 그러므로 ‘김치’와 ‘기무치’는 한국어와 일본어로 각각 발음이 다를 뿐 동일 사물을 지칭하는 명사이다. 그러나 많은 보통 사람들은 한국인들이 일상생활에서 먹고 있는 ‘김치’와 일본에서 일본인들이 먹고 있는 ‘기무치’는 상당히 다른 음식인 것으로 오해를 한다. ‘김치’와 ‘기무치’는 본질적으로 같은 것이나 그 명칭에서 달리 발음되는 것처럼 상당한 차이가 있기도 하다. 한국과 일본이 처한 자연환경을 살펴보면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발견할 수가 있다. 연간 강우량에 있어서 한국과 일본은 커다란 차이를 보이는 것과 함께, 습도도 해양.. 2023. 8. 2.
비염에 좋은 작두콩(Canavalia gladiata)의 기원과 효능, 효과 작두콩(Canavalia gladiata)은 콩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덩굴성 식물로 동남아시아 열대지방이 원산이며, 줄기에는 털이 없고 콩꼬투리는 나선형으로 긴 칼처럼 생긴 모양이 작두와 비슷하다 하여 작두콩 또는 도두(刀豆)라고 한다. 그 이외에도 대도두(大刀豆), 협검두(挾劍豆), 관도두(關刀豆), 도파두(刀巴豆), 대익두(大弋豆), 마도두(馬刀豆), 도두자(刀豆子) 등 다양하게 불린다. 개화기는 6~7월이고 결실기는 8~10월이며 열매를 따 말린 종자의 길이는 2~3.5 cm, 너비는 1~2 cm, 두께는 0.5~1.2 cm, 콩깍지의 길이가 10~30 cm까지 자라며, 10~14개의 흰색, 붉은색 또는 검은색의 종실이 열린다. 작두콩은 고려시대때 왕실에서 약재와 식품 등으로 활용되어온 작물이었으나,.. 2023. 8. 1.
슬로푸드(Slow Food) 음식으로 건강한 삶과 환경보호를 한꺼번에 현대사회는 세계화로 인한 사회의 변화로 식생활도 점차적으로 서구화되었다. 균형 잡힌 전통한식 대신에 최근에는 고열량을 가진 간편식 혹은 패스트푸드가 우리의 식탁을 차지하고 있다. 맞벌이 가족과 1인가구 증가로 인하여 간편식, 불규칙한 식사와 결식이 잦아지고 있으며, 과거의 식생활은 배부르게 먹는다는 것 자체가 만족감의 표현이었으나, 현대사회에서는 균형 잡힌 식생활이 인간에게 안정감을 느끼게 하고, 건강과 자아실현의 수단이 되고 있다. 이렇듯 현대사회에서 음식이란 경제, 사회구조, 정책, 기술, 조리기법, 식습관, 사교, 예술, 환경 등 수많은 요인이 반영된 소산물로써 문화의 중요한 축으로 인정받고 있다. 상업화된 근대도시에서 비슷한 유형으로 된 외식의 빈번함과 지겨움이 어머니가 해준 과거의 음식을 떠올리.. 2023. 8. 1.
비만과 당뇨병이 간암, 췌장암, 담낭암에 미치는 영향 1. 간암, 췌장암, 담낭암의 역학 2. 당뇨병과 간암, 췌장암, 담낭암의 역학적 관계 3. 비만과 간암, 췌장암, 담낭암의 역학적 관계 1. 간암, 췌장암, 담낭암의 역학 간암, 췌장암, 담낭암은 소화기계 암 중 발생률은 다른 암에 비해 높지 않지만 선별검사를 통한 발견이 어렵고 예후가 좋지 않은 암으로 알려져 있다. 2018년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2017년 간암은 발생률 기준으로 우리나라 전체 암 발생 중 6.6%에 해당하고 이중 남성암의 9.4%, 여성암의 3.6%에 해당하였다. 췌장암은 전체 암 중 3%에 해당하였고 남성암의 3.1%, 여성암의 3% 정도였다. 담낭암 및 담도암의 담도계 암은 전체 암 중 2.9%로 남성암의 2.9%, 여성암의 3%에 해당하였다. 연령을 표준화한 발생률로 살펴보면.. 2023. 8. 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