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건강하게145

일상생활에 필요한 체력에 영향을 주는 근감소증 체력은‘주어진 상황에서 근육에 요구되는 업무 수행을 위해 필요한 능력’이라 정의된다. 다시 말해 신체활동 시 에너지 발현과 호흡 관련 능력 및 근육과 다른 조직들의 협응을 가능하게 하는 근력과 근지구력, 유연성 및 심폐지구력 등의 건강 관련 체력이 있으며, 평형성, 민첩성 같은 신체의 기능과 관련된 체력 요소가 있다. 근력의 경우 근 수축을 통하여 출력되는 장력을 의미한다. 근력이 크다는 것은 큰 힘을 낼 수 있다는 것이며, 근력은 수축에 관여하는 운동 단위(motor unit)의 수에 비례한다. 또한 근 수축은 근절(sarcomere)의 액틴(actin)과 마이오신(myosin)의 작용으로 수축하고 이완한다. 근 지구력은 근력을 계속 유지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한다. 근지구력은 연령의 증가와 함께 감.. 2023. 8. 2.
우리나라 노인들의 필수영양소 섭취 현황 전 세계적으로 의학 발달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간의 평균 수명이 늘어나고 있다. 평균수명의 연장이 꼭 건강한 수명의 증가를 의미하지는 않기에, 노인의 건강과 식생활, 영양섭취에 대한 관심과 대책, 노인을 위한 식단 개발도 필요한 시점이다. 노인은 치아 손실, 소화 흡수력 약화를 포함한 생리적 기능의 저하, 미각 기능의 상실, 경제적 곤란, 심리적 요인, 사회활동의 감소 등에 의한 영향으로 식사에 어려움이 있다. 노인에게서 영양은 일상생활수행, 질병, 생존율에 영향을 주고, 불규칙한 식생활은 영양상태 불균형을 가져오게 되어, 미국영양학회에서는 영양이 성공적인 노화에 중요한 요소라고 하였다 . 2018년 국민건강통계에 의하면 60세 이상 치아나 틀니, 잇몸 등 입안의 문제로 인한 저작불편호소율은 32%이며.. 2023. 8. 2.
'체질에 맞는 음식이 건강에 좋다'고 하는 우리나라만의 독창적인 사상체질의학 1. 사상체질 정의 2. 사상체질에 따른 체질 진단의 특징 3. 사상체질에 따른 장기의 특징 4. 사상체질에 따른 식품과 한약재 분류 5. 사상체질에 따른 성미귀경 1. 사상체질 정의 사상체질의학은 조선시대 동무 (東武) 이제마 (李濟馬)선생 (1837∼1900)에 의하여 제창된 의학으로 우리나라 사람들의 체질에 따른 맞춤의학으로 치료 의학과 예방의학 이라는데 가치가 있다. 사상체질은 태양인 (太陽人), 소양인 (少陽人), 태음인 (太陰人), 소음인 (少陰人)의 네 가지 체질로 분류하였다. 과거의 의학은 개인의 체질적인 특성보다는 동서양을 불문하고 인간의 생리 현상이나 질병 현상을 획일적으로 생각하여 왔다면, 사상체질의학에서는 '체질에 따라서 허약한 장기가 다르고 병의 진전이 다르며, 약에.. 2023. 8. 2.
김치의 일본전파로 알아보는 음식문화의 지역성 김치를 일본인들은 ‘기무치’라고 발음한다. 일본어로는 한글 종성인 받침이 부족해서, 한국의 본래 명칭인 ‘김치’라고 발음이 되지 않는다. 때문에 ‘김치’를 ‘기무치’로 발음을 한다. 그러므로 ‘김치’와 ‘기무치’는 한국어와 일본어로 각각 발음이 다를 뿐 동일 사물을 지칭하는 명사이다. 그러나 많은 보통 사람들은 한국인들이 일상생활에서 먹고 있는 ‘김치’와 일본에서 일본인들이 먹고 있는 ‘기무치’는 상당히 다른 음식인 것으로 오해를 한다. ‘김치’와 ‘기무치’는 본질적으로 같은 것이나 그 명칭에서 달리 발음되는 것처럼 상당한 차이가 있기도 하다. 한국과 일본이 처한 자연환경을 살펴보면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발견할 수가 있다. 연간 강우량에 있어서 한국과 일본은 커다란 차이를 보이는 것과 함께, 습도도 해양.. 2023. 8. 2.
비염에 좋은 작두콩(Canavalia gladiata)의 기원과 효능, 효과 작두콩(Canavalia gladiata)은 콩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덩굴성 식물로 동남아시아 열대지방이 원산이며, 줄기에는 털이 없고 콩꼬투리는 나선형으로 긴 칼처럼 생긴 모양이 작두와 비슷하다 하여 작두콩 또는 도두(刀豆)라고 한다. 그 이외에도 대도두(大刀豆), 협검두(挾劍豆), 관도두(關刀豆), 도파두(刀巴豆), 대익두(大弋豆), 마도두(馬刀豆), 도두자(刀豆子) 등 다양하게 불린다. 개화기는 6~7월이고 결실기는 8~10월이며 열매를 따 말린 종자의 길이는 2~3.5 cm, 너비는 1~2 cm, 두께는 0.5~1.2 cm, 콩깍지의 길이가 10~30 cm까지 자라며, 10~14개의 흰색, 붉은색 또는 검은색의 종실이 열린다. 작두콩은 고려시대때 왕실에서 약재와 식품 등으로 활용되어온 작물이었으나,.. 2023. 8. 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