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노인들의 필수영양소 섭취 현황
전 세계적으로 의학 발달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간의 평균 수명이 늘어나고 있다. 평균수명의 연장이 꼭 건강한 수명의 증가를 의미하지는 않기에, 노인의 건강과 식생활, 영양섭취에 대한 관심과 대책, 노인을 위한 식단 개발도 필요한 시점이다. 노인은 치아 손실, 소화 흡수력 약화를 포함한 생리적 기능의 저하, 미각 기능의 상실, 경제적 곤란, 심리적 요인, 사회활동의 감소 등에 의한 영향으로 식사에 어려움이 있다. 노인에게서 영양은 일상생활수행, 질병, 생존율에 영향을 주고, 불규칙한 식생활은 영양상태 불균형을 가져오게 되어, 미국영양학회에서는 영양이 성공적인 노화에 중요한 요소라고 하였다 . 2018년 국민건강통계에 의하면 60세 이상 치아나 틀니, 잇몸 등 입안의 문제로 인한 저작불편호소율은 32%이며..
2023. 8. 2.
비염에 좋은 작두콩(Canavalia gladiata)의 기원과 효능, 효과
작두콩(Canavalia gladiata)은 콩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덩굴성 식물로 동남아시아 열대지방이 원산이며, 줄기에는 털이 없고 콩꼬투리는 나선형으로 긴 칼처럼 생긴 모양이 작두와 비슷하다 하여 작두콩 또는 도두(刀豆)라고 한다. 그 이외에도 대도두(大刀豆), 협검두(挾劍豆), 관도두(關刀豆), 도파두(刀巴豆), 대익두(大弋豆), 마도두(馬刀豆), 도두자(刀豆子) 등 다양하게 불린다. 개화기는 6~7월이고 결실기는 8~10월이며 열매를 따 말린 종자의 길이는 2~3.5 cm, 너비는 1~2 cm, 두께는 0.5~1.2 cm, 콩깍지의 길이가 10~30 cm까지 자라며, 10~14개의 흰색, 붉은색 또는 검은색의 종실이 열린다. 작두콩은 고려시대때 왕실에서 약재와 식품 등으로 활용되어온 작물이었으나,..
2023. 8.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