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하게

로고테라피의 상담기법과 인간이 건강하게 살 수 있도록 도와주는 로고스

by howto88 2024. 8. 10.
728x90
반응형

 

  로고테라피는 Frankl이 실존주의에 기반하여 완성한 기법이다. Frankl은 모든 인간에게는 삶의 의미가 있으며, 이 의미를 찾고자 하는 의지가 있는데, 이 의지가 꺾였을 때 인간은 공허함을 느끼고 중독물질에 기댈 수 있다고 하였다.

 

  삶의 의미를 찾고자 하는 의지는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동기이자 삶의 동력이기 때문이다. 이는 프로이트의 쾌락 의지와 아들러의 권력 의지와 대조되는 정의이다. 아들러식과 프로이트식 치료에서는 개인 성찰, 성격 구조 발견, 과거의 중요한 사건 기억에 초점을 맞추는 경우가 많지만, 로고테라피는 내담자를 미래로 인도하고 개개인 존재의 독특하고 구체적인 의미로 간주하는 것이 무엇인지 찾도록 안내한다.

 

   로고테라피의 목표는 인간이 건강하게 살 수 있도록 로고스(영 혹은 삶의 의미)를 인식하고, 로고스를 자신의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게 돕는 것이다. 로고테라피를 통해 종교적 신념 및 유무와 상관없이 좌절, 억압, 무시되었던 영적 자원을 의식의 차원으로 끌어올리는 것이다.

 

 

   로고테라피의 기본 원칙은 ‘선택의 자유’, ‘의미에의 의지’, ‘삶의 의미’이다. ‘선택의 자유’는 인간은 어떠한 조건에 처해 있든 그 상황에 대해 자신의 태도를 결정할 수 있는 자유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의미에의 의지’는 어떠한 상황, 조건에서도 인간은 의미를 찾고자 노력한다는 것이다. ‘삶의 의미’는 어떤 상황, 조건에서도 의미는 존재하고 있음을 뜻한다.

 

   삶의 의미는 지금 이 순간의 가치, 장기적 삶의 과제나 소명, 궁극적 믿음으로 이루어진다. 이 중 가치는 창조적 가치, 경험적 가치, 태도적 가치로 이루어지는데, 세 가지의 가치를 찾다 보면 삶의 의미를 확인할 수 있다. 창조적 가치는 내가 세상에 주는 것으로 내가 스스로 만들어가는 것이며, 경험적 가치는 세상이 나에게 주는 것으로 타인이 만들어 놓은 것을 내가 경험하면서 얻는 것을 의미한다. 태도적 가치는 Frankl이 말한 인간이 피할 수 없는 3대 비극에 내가 어떤 태도를 취하는 가에 따라 실현하는 것이다.

 

   여기서 3대 비극은 세상으로부터 겪는 ‘고통’, 내 자신을 향한 ‘죄책감’, 삶의 일회성으로 인한 ‘죽음’이다. 고통을 느낄 때, 이 고통이 피할 수 없는 고통인지 불필요한 고통인지 구분하고, 피할 수 없는 고통은 수용하고, 불필요한 고통은 깨달은 후 거리를 두어야 한다. ‘죄책감’은 정상적 죄책감은 느껴야만 사회생활이 가능하기에 인정하고 받아들이지만, 초자아가 높아서 생기는 신경증적 죄책감은 불필요함을 알아야 한다. 실존적 죄책감은 영유아∙청소년기 부모의 잘못된 양육태도나 사회의 어긋난 메시지로부터 느낄 수 있다.

 

   인간의 ‘죽음’, 즉 삶의 일회성이라는 한계가 우리에게 계획성 있고 책임감 있는 삶을 살도록 하며, 감사함을 느끼도록 한다. Frankl은 인간이 피할 수 없는 이 3대 비극을 받아들여야 삶에 대한 태도적 가치를 얻을 수 있다고 하였다. 즉 삶을 향한 자신의 태도를 통해 의미를 알게 되는 것을 뜻한다. 이를 비극적 낙관주의라고 하고, 이는 긍정심리학의 모태가 되었다.

728x90
반응형

 

   로고테라피의 주요 상담 기법으로는 역설적 의도법(paradoxical intention), 탈숙고(dereflection), 소크라테스 대화법(Socratic dialogue) 그리고 태도 수정(modification of attitudes) 등이 있다. 역설적 의도법은 대상자가 두려워하는 일이 닥쳐오기를 바라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땀이 많이 나서 생활이 불편한 환자에게 땀이 더 많이 나도록 노력해보라고 하는 것이다. 이 기법은 대상자가 유머를 받아들일 수 있는 심리적 여유가 있는 상태에서만 적용 가능하다.

 

   탈숙고는 지나치게 문제에 집중해 있어서 문제에서 헤어나오지 못하는 상황에서 사용 가능한 방법이며, 탈숙고는 정지신호와 사고지표(guidepost)로 나뉜다. 예를 들면, 성관계시 만족감을 느끼지 못하여 상담을 원하는 부부에게 성관계를 갖지 않도록 과제를 준다거나, 성관계시 아무것도 느끼지 않게 노력해 보라고 하여 만족감을 얻게 하는 것이다.

 

   소크라테스 대화법은 대상자가 스스로 잠재적 자원을 찾도록 돕는 것으로 이 과정을 통해 참자아를 찾을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자기발견(self-discovery), 선택(choice), 유일성(uniqueness), 책임감(responsibility), 자기 초월(selftranscendency)의 영역을 찾도록 도와준다. 이러한 활동이 삶의 의미를 찾기 위한 표지판으로 활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태도수정은 삶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를 변화하도록 돕는다. 바꿀 수 없는 상황에 몰두하지 않고 그 상황에서 벗어나서 바꿀 수 있는 것을 개선시켜 나아갈 수 있도록 하는 기법이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