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을 위한 운동

골프 스윙 운동과 비거리 향상을 위한 스트레칭과 필라테스

by howto88 2024. 10. 17.
728x90
반응형

   통계청 '2022년도 사회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골프 인구수는 2019년 470만 명에서 2021년도에는 564만 명으로 급증하였다. 골프를 취미로 즐기는 골프 인구의 증가에 따라 경기력을 향상하기 위해 골프 비거리 증가에 관한 관심과 수요 또한 증가하고 있다. 

 

   골프는 9홀 또는 18홀을 돌며, 제일 적은 타수를 겨루는 경기이며 멀리, 정확하게 공을 보내는 것이 경기력을 향상시키는 중요 요소이다. 원하는 위치로 정확하게 공을 보내기 위해서는 스윙의 기술, 속도, 골프채의 특성, 선수들의 근력 등이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스윙은 볼 타구 시, 비거리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골프 스윙은 고도의 기술과 과학적인 분석을 요구하는 운동으로 신체 분절 및 관절의 복잡하고 연속적인 회전으로 이루어진다. 스윙 동작은 다리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체가 최대한으로 회전하는 운동으로 여러 신체 분절의 연속적이고 질서 있는 동작을 통해 발생한 운동량을 클럽헤드를 통해 볼에 전달하는 것이다. 

 

<돌림근의 회전각 측정>

 

   효율적인 스윙은 각 신체 분절 작용점의 협응과 신체의 축을 중심으로 큰 원심력과 헤드 스피드를 만들어내며, 이는 동작과 신체의 균형이 잘 이루어질 때 최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스윙은 어드레스, 백스윙, 다운스윙, 임팩트, 4가지 구간으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클럽을 잡고 공을 치기 위해 거리를 조정하는 어드레스를 시작으로, 클럽헤드와 손이 뒤로 움직이는 것과 동시에 몸통이 오른쪽으로 회전하는 백스윙과 백스윙에서 왼쪽방향으로 회전하며 클럽헤드가 볼에 닿는 순간까지의 다운스윙, 클럽헤드가 공에 닿는 임팩트 구간까지로 나누어진다. 

 

   공을 멀리 치기 위해서는 백스윙 구간에서 몸의 회전 스트레칭-꼬임에 의하여 토크가 만들어지고 이렇게 축적된 힘이 다운스윙을 통한 풀림을 이용해 클럽헤드 속도를 최대화 시켜야한다. 스윙에서 핵심적 열쇠 중 하나는 특히, 다운스윙의 적절한 순서에서 찾을 수 있는데, 엉덩 관절의 회전이 먼저 동작의 방향을 유도하고, 몸통, 어깨, 양팔, 양손 순서대로 회전해야 한다.

 

   즉, 백스윙 시 몸의 회전력으로 만들어낸 힘을 다운스윙에서 체중 이동과 몸통 회전의 풀림이 빠르게 진행되어야 임팩트 구간에서 정확하게 힘을 실어 공을 칠 수 있다. 골프 스윙은 신체 분절 및 관절의 복잡하고 연속적인 회전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복합 동작으로 근력만으로는 효율적인 스윙을 평가하기 어려우며, 유연성이 향상되었을 때 골프공의 비거리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골프 스윙 시 유연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특히 몸통의 회전 유연성이 중요하다. 골프 선수의 성공적인 스윙을
위해서는 유연성이 중요하며, 비거리와 클럽 헤드 속도의 증가를 위해서는 골프 훈련 프로그램에 몸통 회전 운동이 중요하다. 프로 골퍼들을 대상으로 몸통 회전과 유연성 향상에 목표를 둔 운동프로그램을 8주 동안 시행한 결과, 골반, 몸통의 유연성과 회전각이 증가하였고, 이러한 변화는 클럽헤드 스피드를 증가시켰다. 결론적으로 비거리를 결정짓는 것은 스윙이며, 효과적인 스윙을 위해서는 몸통 회전력의 유연성이 중요하게 작용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몸통의 회전에 관여하는 돌림근은 척주 전체에 걸쳐 존재하지만, 특히 등뼈 영역에서 가장 잘 발달 되어 있다. 돌림근 각각의 근섬유는 척추뼈의 가로돌기와 척추뼈 사이 이음부 위에 위치한 척추뼈의 가시돌기 바닥부 및 고리판 사이에 부착된다. 이러한 근섬유의 위치와 특성 때문에 돌림근은 몸통 뼈대에서의 미세하게 조절되는 움직임과 안정화의 힘을 생산하는 데 기여 하고 있다.

 

   돌림근의 위치와 기능을 고려했을 때, 효율적인 스윙을 위해서는 돌림근의 유연성 및 강화 훈련이 필요하다. 골프 스윙은 경기력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이지만, 스윙은 비대칭 형태로 느린 백스윙 돌림에 이은 고속 다운스윙을 하는 운동으로써,
비대칭 스윙을 반복하게 되면 근육의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고, 잠재적으로 허리통증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다. 

 

   골프를 비롯하여 한 방향으로 집중되는 신체 동작의 반복 시 나타날 수 있는 근육 길이나 근육 두께의 비대칭은 선수들이
움직일 때 탄력성 조직과 비 탄력성 조직의 마찰에 영향을 미쳐 통증을 일으키는 주된 원인이 되고 있다. 대부분 빠른 스피드로 한쪽으로만 회전을 반복하면 측만증, 추간판 탈출증, 갈비뼈 부상 등 많은 상해의 위험성을 지닌다. 또 비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할 수 있는 가동범위와 무리하게 몸에 힘을 주고, 몸통을 돌리다가 부상을 입는 경우가 많다.

 

반응형


   따라서, 골프의 스윙은 신체의 비대칭을 유발하여 통증과 골프 경기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이를 보완해야 하며, 특히 스윙에서의 안정적이며 효율적인 몸통 회전을 위해서는 등뼈 부분의 가동성 향상을 위한 운동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스윙 운동에서 불균형을 유발할 수 있는 점을 보완하고 비거리 향상을 위해 대표적인 운동법은 스트레칭과 필라테스이다.

 
   먼저, 스트레칭은 근육 내에 탄성을 주어 유연성을 늘려줌에 따라 신체를 움직이기 쉬운 상태로 만들어 동작을 원활하게 하고 각종 운동 상해를 예방하고 협응을 도우며, 신체지각을 증진 시키는 이점이 있어, 드라이버 비거리를 향상할 수 있는  운동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필라테스는 해부학을 바탕으로, 신체 동작에 대한 연속적이고 예리한 분석을 기초에 둔다. 필라테스의 운동원리는 집중(Concentration), 인지(Awareness), 정렬(Alignment), 호흡(Breathing), 중심화(Centering), 정확성(Precision), 협응성(Coordination), 신연(Lengthening), 지속(Persistence)으로 동작과 프로그램에 적용되어, 동작 수행 시 내 몸의 움직임에 집중하여 인지력을 상승시켜, 바른 정렬과 호흡을 할 수 있으며 몸통 중심화를 이룰 수 있다.

 

   몸통 중심화를 통해 움직임을 조절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으며, 이는 팔다리의 협응력을 상승시켜서 질 좋은 움직임을 만들 수 있다. 필라테스 운동법은 표층에서 심층에 이르는 근육의 고른 발달로 체력 및 활력의 향상, 기술 및 경기력의 향상, 부상의 예방, 체형관리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