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프에 있어 소비의 측면은 간과할 수 없는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그 이유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스포츠 종목과 달리 골프는 기본적인 지식 없이는 즐길 수 없다. 즉, 누구든지 골프를 즐기기 위해서는 이에 앞서 중장기적인 레슨을 필수적으로 받아야 한다.
둘째, 접근성이 비교적 양호하고 금전적인 비용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축구, 농구, 배드민턴 등과 달리 골프를 즐기기 위해서는 정해진 장소 즉, 상당한 비용을 지불하고 골프장을 이용해야 한다. 더욱이 골프장 대부분은 도심 외곽 또는 지방에 위치하고 있어 이동하는 비용과 시간소비도 많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금전, 시간적으로 발생되는 비용으로 인해 스크린골프가 활성화되었지만, 그조차도 결코 비용이 저렴하지 않은 실정이다.
셋째, 골프를 즐기기 위해서는 장비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드라이버, 우드, 아이언, 웻지, 퍼터 등 수십에서 많게는 수백만 원을 들여 다양한 골프클럽을 갖추어야 한다. 특정 골프장의 경우 골프클럽과 골프화 등을 대여해주는 곳이 있긴 하지만 그마저도 소수에 불과하고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이를 대여해서 골프를 즐기는 이는 거의 없다. 아울러 골프공 역시 상당한 비용이 발생된다. 한번 구매하면 오래 사용할 수 있는 축구공과 농구공 등과 달리 골프공은 미스 샷으로 인해 공을 찾을 수 없는 경우가 다반사이다. 숙련된 참여자의 경우 잘 잃어버리지 않는다고 해도 골프공은 샷을 할 때마다 표면이 마모되기 때 문에 그 수명이 매우 짧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정기적으로 골프공을 구매해야 하기에, 이에 대한 비용적인 측면 역시 간과할 수 없다.
넷째, 골프를 즐기는데 있어 상당한 시간적 비용이 발생한다.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골프를 즐기기 위해 요구되는 골프장은 대부분 접근성이 좋지 못하다. 따라서 이동하는 거리가 많아 시간적인 비용 발생이 필수적이다. 이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라운드 시간(골프장 이용시간)은 5시간, 주말의 경우 많게는 6시간 이상도 잡아야 한다. 즉, 국내에서 라운드하기 위해서는 반나절 이상의 시간적인 비용을 투자해야만 한다. 더욱이 이를 위해 평소에 연습하는 시간까지 더한다면 그 어떤 스포츠보다도 많은 시간적인 지출을 필요로 한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다섯째, 골프는 스포츠 종목 중 유일하게 심판이 없는 스포츠이다. 그 만큼 예의와 매너를 중시하는 스포츠이며 신사 스포츠를 지향하고 있다. 따라서 골프장에 입장하여 골프를 즐기기 위해서는 골프웨어와 골프화 등 적절한 복장을 갖추어야만 하는데, 이 역시도 요구되는 비용이 상당하다.
이처럼 골프를 즐기기 위해서는 다른 종목에 비해 비교적 많은 금전, 시간적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그동안 한국사회에서 골프는 사치성 스포츠 또는 귀족스포츠로 여겨지며 대중들의 외면을 받아왔다.
MZ세대가 가장 영향력 있는 주요 소비층으로 대두되면서 이들의 성향이 반영된 소비문화가 형성되었으며, 그중에서도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현상은 플렉스문화이다. 영어로 플렉스(Flex)란 구부린다는 의미로 해석되며, 근육을 과시하는 행위인 ‘flexing’으로부터 시작되어 다른 이들의 이목을 끌기 위한 과한행동 또는 자랑한다는 뜻으로 여겨지고 있다.
특히, 자신이 가치있다고 인식하는 제품은 가격이 고가라 하더라도 과감하게 구매하는 경향이 있는 MZ세대에게 ‘재력을 과시하다’ 또는 ‘비싼 물건을 지르다’ 라는 의미로 통용되고 있다. 주로 고가 제품의 구매를 통해 자신의 존재감을 과시하고자 하는 경우에 많이 쓰이고 있으며 하나의 소비문화 또는 대세 라이프 스타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과거에는 플렉스문화가 유튜브 등과 같은 소셜미디어의 활성화와 결합하여 일종의 ‘과시 놀이’가 되면서, 과소비를 조장한다는 지적이 제기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조사에서 MZ세대는 플렉스 문화를 자기만족과 하나의 즐기는 놀이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이 SNS인증 샷을 통해 고가의 제품을 플렉스한 자신의 경험을 드러내는 자기과시형 소비가 이제는 하나의 소비문화 트렌드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스포츠 시장에서도 같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과거 품질 및 성능 대비 저렴한 가격에 대한 브랜드 수요가 높았다면, 전반적인 스포츠용품의 개성화가 이뤄지면서 고가의 유명 브랜드 또는 전문 스포츠 브랜드의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는 모습이다. 또한, 프로들이 사용하는 고품질의 스포츠제품은 물론 특수 제작된 제품의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데, 전문장비 또는 의류를 갖추게 되면 프로와 같은 역량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높아지면서 전문용품의 구매로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코로나19에 의한 보복소비의 영향으로 소확행(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을 추구하는 MZ세대의 명품소비가 급증하면서, 명품브랜드들은 국내 시장에서 역대급 실적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각 브랜드들의 매출액을 살펴보면 샤넬코리아의 경우 2020년에 비해 약 32% 증가한 1조2천238억원으로 나타났으며, 동 기간 영업이익은 2천 490억원으로 2020년 대비 67% 급증했다. 루이뷔통코리아의 경우 2020년 대비 약 40% 증가한 1조4천681억원으로 나타났으며, 동 기간 영업이익은 3천19억원으로 거의 두 배 가량 급증했다. 명품브랜드 중 가격이 가장 높은 에르메스코리아의 경우 2020년 대비 약 26%가 증가한 5천272억 원으로 나타났으며, 영업이익은 1천704억원으로 같은 기간 대비 약 28% 가 급증했다. 3대 명품으로 여겨지는 에루샤(에르메스, 루이뷔통, 샤넬을 합쳐 줄인말)를 합산한 매출이 3조원을 돌파한 것은 2022년이 처음이다.
이들 명품 브랜드의 호실적 배경에는 MZ세대의 스몰 럭셔리 트렌드를 꼽을 수 있다. 명품에 대한 소유욕을 거침없이 드러내는 플렉스 문화가 확산되면서 MZ세대의 보복 소비 심리가 급증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MZ세대의 명품 플렉스 현상은 골프에서도 쉽게 볼 수 있다.
그동안 골프는 사치성 스포츠 또는 귀족스포츠 등 부정적으로만 여겨지며 대중의 외면을 받아왔었다. 그러나 2021년 국내 골프장 누적 이용객 수는 2019년(4,100만명) 대비 급증한 5,000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21년 국내 골프인구는 약 515만명을 기록하며 사상 처음으로 500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그중 MZ세대의 경우 2020년 대비 약 35%가 증가한 115만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골프 신규 참여자의 약 65%가 20~40대, 그리고 10대~30대의 골프 소비가 폭발적으로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2022년 국내 골프시장 규모는 약 6조원을 넘을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MZ세대가 골프로 급속히 유입되면서 고가 골프웨어 브랜드 역시 전성기를 누리기 시작했다. 자신을 위해 아끼지 않는다는 MZ세대의 소비 특성이 골프웨어의 럭셔리 전략과 맞아들면서 고가 골프웨어 매출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골프에서 명품으로 불리우는 PXG의 경우 론칭 5년만인 2021년에 연 매출 1,000억원을 달성하였으며, 주요 점포의 경우 연매출이 40~50억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대백화점의 경우 2022년 1분기 골프 부문 매출은 2021년 동 기간 대비 약 70% 증가했으며, 그중 MZ세대의 골프 매출은 103% 이상 증가했다. 뿐만 아니라 전체 골프 매출에서 MZ세대 고객이 차지하는 비중 역시 사상처음으로 약 20%를 넘어서며 골프 부문 주요 고객층으로 빠르게 자리잡고 있다.
이처럼 MZ세대의 명품 플렉스 현상이 골프에서도 나타나게 된 배경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비교적 초보자가 즐기기 수월한 스크린골프장과 스크린을 활용한 레슨스튜디오의 증가로 MZ세대의 골프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지게 되었고, TV를 포함한 각종 미디어를 통해 골프예능을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또래 유튜버들의 골프를 즐기는 브이로그를 보며 관심을 갖게 되는 경우도 늘고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MZ 세대의 명품 플렉스 현상이 골프에서도 나타나게 된 배경은 새로운 트렌드가 된 인증 샷 문화와 플렉스문화의 결합을 가장 큰 이유로 들 수 있다. 이제 MZ세대는 SNS에 인증 샷을 올리는 것을 자신의 개성을 표출 하는 수단으로 여기게 되었다. 즉, 골프웨어를 입고 필드에서 골프를 즐기는 사진을 SNS에 올리며, 사회적으로 고급스포츠라 인식되는 골프를 통해 개성과 차별화된 자신의 모습을 표출하는 자기과시형 여가소비에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건강을 위한 운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프 스윙 운동과 비거리 향상을 위한 스트레칭과 필라테스 (4) | 2024.10.17 |
---|---|
골프 스윙 이론과 플라잉 엘보(Flying Elbow) 교정 방법 (0) | 2024.10.17 |
골프경기력을 결정하는 기술적, 체력적, 심리적 요인 (1) | 2023.12.11 |
한국 남자 프로골프 협회 정회원 자격을 얻기 위한 조건 (1) | 2023.12.11 |
이상적인 골프 스윙을 위한 골프수행력 (1) | 2023.12.08 |